회사소개
home
About LBox
home
💼

엘박스가 일하는 방식

엘박스의 실행 방식

우리의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 기준은 "고객가치"입니다.
우리는 거창한 계획보다 기민한 "실행"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우리는 정답을 맞추는 것보다 "해답"을 찾는 과정에 무게를 둡니다.
우리는 무엇(what)을 할 것인지를 고민하기 전에 "왜(why)" 하는지를 먼저 생각합니다.
우리의 토론은 치열하지만 결정된 이후의 실행은 심플합니다.
의사결정은 풀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 가장 많은 정보, 맥락,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owner)이 합니다.

엘박스의 운영 방식

분기 단위의 OKR
존 도어의 OKR 에 따르면, 적절한 OKR 주기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빠르게 반응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성공 여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분기 단위의 OKR을 설정하고 매주 점검합니다. 분기 말에는 현재 엘박스에서 집중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이고 그 분야에서 어떤 성과를 내고 있나요? 라는 질문에 모든 팀원이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답을 가지도록 OKR 회고 미팅을 하고 있습니다.
목적조직 스쿼드와 기능조직 챕터
목적조직인 스쿼드와 기능조직인 챕터 각각에 속하게 됩니다. 스쿼드 안에서 고객에게 집중하여 문제를 풀되, 챕터끼리 의논을 하면서 더 나은 방식들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스쿼드에서는 보통 2주 단위 스프린트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스프린트 플래닝 미팅을 통해서 진행할 작업을 정하고, 데일리 스크럼을 통해 매일 진행 현황을 공유하곤 합니다.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OKR의 Key Results 와 연결되어 정량적인 목표를 매주 같이 점검하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내립니다. 비즈니스/프로덕트 지표 점검을 위해 Redash를, 고객 행동 데이터 분석을 위해 Amplitud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북클럽 모두가 같은 이해를 가지게 된다면, 협업은 물이 흐르듯 진행이 될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에서 일하면서 도움이 되는 스타트업, 그로스 등의 주제들에 대해서 북클럽을 통해서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어보고 있습니다.
북클럽 책 리스트 엿보기   권도균의 스타트업 경영 수업(스타트업 일반), 린 스타트업(제품 개발), 실리콘밸리의 팀장들(피드백 문화)
KPT 회고 한달에 한번씩 KPT(Keep: 잘하고 있는 것, Problem: 잘 못하고 있는 것, Try: 개선 방향) 회고를 통해서 일하는 방식, 문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자유롭게 논의하고 더 나은 문화를 위해 개선합니다.